유니콘카지노

[르포]'韓 공략 채비' 징둥의 베이징 물류센터…고효율 로봇천국

'중국의 아마존' 징둥 핵심 경쟁력은 물류…스마트물류센터 중국 전역 41곳
무인운반차량 등 자동화 기술 적용…익일 오전 8시 이전 배송 구현

징둥 베이징 '아시아1호' 스마트 물류센터 모습 (사진제공=징둥)

(베이징=뉴스1) 정은지 특파원 = '중국의 아마존'으로 불리는 징둥이 징둥물류(징둥로지스틱스)를 설립하고 한국 진출을 본격화하면서 'C커머스'의 한국 공략이 가속화되고 있다. 징둥의 핵심 경쟁력은 단연 '물류' 서비스다. 업계에서는 징둥이 물류 사업을 발판삼아 향후 알리바바의 '알리익스프레스', 핀둬둬의 '테무'처럼 한국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본다. 실제 징둥은 과거 홍콩과 영국 등 일부 지역에 물류 사업을 우선적으로 진출하고 전자상거래 서비스까지 확대하는 전략을 취해왔다.

지난 15일 베이징 남부 다싱구에 있는 징둥 '아시아1호' 스마트 물류센터를 찾았다. 베이징에 위치한 물류센터는 베이징을 비롯해 산둥, 톈진, 산시, 허베이 등 지역 물류 서비스를 지원한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전역에 운영되고 있는 '아시아1호'는 41곳에 달한다. 규모로만 따지면 아시아에서 최대 규모의 스마트 물류센터다. 징둥은 쿠팡처럼 직접 제품을 매입하고 자체 물류망을 갖춘 점이 다른 중국의 이커머스 기업과 비교되는 지점이다.

징둥의 물류 경쟁력은 자동화 기술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동화 시스템을 대표하는 장비는 디랑(地狼), 톈랑(天狼), 페이랑(飞狼) 등 시스템이다. 이 곳에 근무하는 실제 사람보다도 자동화 장비가 훨씬 더 많다.

'아시아1호' 한편에서 AGV(무인운반차량) '디랑'을 볼 수 있었다. 디랑은 지면의 QR코드를 인식해 화물이 있는 위치를 설정하고 운행하며 주문 목적지에 맞춰 화물을 선반에 올려놓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동안 이 곳에서 일하는 사람이 물건을 찾았던 개념을 뒤집어 '물건이 사람을 찾아간다'는 시스템을 구현했다는 설명이다. 직원이 작업대에서 디랑이 옮겨오는 물건을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디랑 1대는 1시간에 최대 250개의 주문을 처리하며 컨베이어 벨트 위로 물건을 분류해 올려놓는다. 현재 이 물류창고에 있는 디랑은 65대에 달한다.

디랑은 최대 1000kg의 하중을 견딜 수 있고 고속주행과 밀리미터(mm)까지 인식하는 정밀 위치 추적도 실현할 수 있다. 회사 측은 이를 통해 기존 대비 3~5배의 높은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징둥 베이징 '아시아1호' 스마트 물류센터 모습. (사진제공=징둥)

제한된 공간에서의 창고 작업 효율을 높인 톈랑도 눈여겨 볼 만했다. 기존 사람이 작업하는 물류창고의 경우, 물건을 선별하는 선반의 높이를 2~3미터 수준으로 설계했다. 이렇게 될 경우 물류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비효율적일 수 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창고에 있는 물류를 선별할 때도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었다.

톈랑은 창고 운영에 있어 발생할 수 있었던 불편함과 비효율성을 개선한 점이 특징이다. '아시아1호'에선 톈랑이 19층 높이의 선반 사이사이를 돌아다니면서 화물을 입출고하는 역할을 한다. 판매량이 많은 제품을 앞쪽에 보관하거나 연관성이 높은 제품을 묶어 보관하면서 창고 운용 능력을 300% 끌어올렸다.

이같은 AGV가 대거 도입됨에 따라 베이징의 '아시아1호'에선 하루 최대 72만건의 물량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이 곳에서 작업하는 인원은 21명 수준에 불과하다. 직접 투입되는 인원은 적지만 익일 오전 8시 전 배송을 실현하며 물류 경쟁력을 제고한 것이 징둥의 핵심 경쟁력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징둥은 지난 2017년 자체 기술 개발에 착수한 이후 작년까지 R&D 분야에 1400억위안(약 27조원)을 투입했다. 그 결과 지난 1분기 기준 징둥물류는 하루 평균 6000만건 이상의 주문량을 처리했다.

징둥물류 관계자는 "물류 각 단계마다 자동화 솔루션을 적용하면서 효율성이 많게는 10배까지도 증가했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한국에 구축된 물류센터에는 '아시아1호'와 같은 첨단 자동화 설비가 완전하게 구현된 것은 아니다.

징둥물류 관계자는 현재 일부 한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물류 서비스에 나섰다고 소개하면서 "징둥의 한국 진출을 추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ejjung@ir7th.shop

오즈카지노 아테나카지노 에스엠카지노 킹카지노 코난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