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재생에너지" 김문수 "원전" 이준석 "尹·文 환경 PC주의"
이재명 "대대적 태양광·풍력" 김문수 "원전이 국가전력 핵심"
이준석 "합리적 기후 정책" 권영국 "기후 정의세 도입"
- 김경민 기자, 박기현 기자, 임윤지 기자
(서울=뉴스1) 김경민 박기현 임윤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23일 재생 에너지 산업으로의 점진적 전환을 공약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원전 중심으로 재생 에너지 병행을,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는 국제적 기준에 입각한 합리적 기후 정책을 내세웠다.
이재명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사회 분야 TV토론에서 "전 세계의 전체적인 에너지 흐름은 화석 에너지에서 재생 에너지로 넘어가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재생 에너지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직전 정부가 재생 에너지 산업을 탄압하는 바람에 우리나라 재생 에너지 산업이 매우 위축됐다"며 "RE100 그러니까 재생 에너지 제품만 산다는 게 국제 표준이 되고 있는데 어쩌자는 건지 알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또 "서남 해안 주변으로 소멸 위기를 겪는 농어촌을 중심으로 태양광·풍력 발전 등을 대대적으로 해야 한다"며 "전남 일대에 재생 에너지가 송전망이 부족해서 추가 발전 허가가 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신속하게 송전망을 건설해야 한다"며 "해당 지역에 데이터 센터 같은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기업을 유치하고 재생 에너지 중심 산단, RE100 산단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김문수 후보는 "문재인 정부는 기후 위기에 대응한다면서도 탈원전 정책을 강행했다"며 "그 결과로 원전 생태계가 완전히 무너지고 원전 발전, 가스 발전으로 대신하며 수십조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비판했다.
김 후보는 "이재명 후보는 재생 에너지 확대만 주장하지, 원전에 대해선 필요하다는 얘기를 안 하고 있다"며 "온실가스를 가장 적게 배출하는 에너지가 바로 원자력 발전"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원자력 발전 단가는 50~60원이다. 반면 재생 에너지 단가는 300원"이라며 "폭염으로 에어컨 사용, AI (산업에) 전기가 많이 필요한데 값싸고 안정적이고 깨끗한 원자력 발전을 많이 준비하는 게 국가 에너지 전력의 핵심"이라고 했다.
김 후보는 "글로벌 에너지 기후 총회에도 2050년 탄소 중립을 위해서 원전을 3배로 늘리자며 30개국 이상이 동참했다"며 "기후 위기 대응에서 원전 외면하는 건 불가능한데 이재명 후보는 원전이 위험하다면서 적절하게 섞자고 한다. 우린 원전 중심에 두고 조력과 풍력 같은 재생 에너지도 병행하겠다"고 전했다.
이준석 후보는 "카페에 가보면 종이 빨대가 있다"며 "실제로 종이 빨대가 플라스틱 빨대보다 탄소 배출이 더 많고 인체에 해롭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런데도 대통령의 고집으로 종이 빨대를 강제하더니 플라스틱 빨대 생산 기업은 피해를 보았다"며 "그런데 정권이 바뀌니 또 정책 바뀌어서 이번엔 종이 빨대 생산 업체들이 파산 위기에 몰렸다"고 직격했다.
뒤이어 "환경 기후 대응 중요하다"며 "하지만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환경 PC주의는 국가 정책을 왜곡하고 피해준다"고 했다.
이준석 후보는 "대통령이 재난 영화를 한 편 보고 감동에서 시작한 탈원전 정책은 전국 농지 임야를 태양광 패널로 바꿔놓고 운동권 마피아들이 태양광 보조금을 받아 흥청망청 쓰다가 결국 사법 처리를 받기도 했다"며 "이준석 정부는 다시 시작하겠다. 비과학적 환경주의 아니라 과학과 상식, 국제적 기준에 입각한 합리적 기후 정책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권영국 후보는 "온실가스를 대량 배출하는 기업과 부유층에 '기후 정의세'를 도입해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취약 계층을 지원하겠다"며 "석탄 화석 연료 시대를 끝내고 공공이 주도하는 재생 에너지 시대를 열겠다"고 약속했다.
권 후보는 "핵 발전소 없는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겠다"며 "한국산업은행이 녹색투자은행의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고 공약했다.
kmkim@ir7th.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