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핵공격 능력' 강화하는 북한…왜 해군을 키우나
美 전략 자산 한반도 배치 견제…내부 선전용 가능성도 제기
- 유민주 기자
(서울=뉴스1) 유민주 기자 = 북한이 5000톤(t)급의 신형 다목적 구축함 '최현호'를 공개하며 해군력 강화를 과시했다. 대외적으로는 재래식 무기를 최대치로 현대화하는 모습을 선보이며 해상 방어력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드러내고 내부적으로는 성과 선전용으로 제작됐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북한 관영 매체는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참관한 가운데 남포조선소에서 5000t급 신형 다목적 구축함 '최현'호 진수식을 했다고 26일 보도했다. 배수량 기준 기존 압록급보다 3배는 더 크고 압록급에는 없는 함대지·함대공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아직 기능이 증명되진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북한 수상함 가운데 처음으로 수직발사대(74개 추정)를 장착한 최현호가 최대 10대에 달하는 KN-23 계열 전술핵 탄도미사일과 수십 발의 전술핵 탑재 가능 순항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 360도 전방위 감시가 가능한 위상배열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북한판 이지스 구축함'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김 총비서는 최현호 진수식에서 '초음속 전략순항미사일'을 비롯해 '전술 탄도미사일' 등을 언급하며 "육상타격 작전 능력을 최대로 강화할 수 있는 무장 체계들이 탑재돼 다목적 수상 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됐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북한의 해군력은 한국에 비해 열세로 평가된다. 북한은 전투함정, 잠수함정 등 한국보다 단순히 '양적 우의'를 가지지만, 대부분 노후한 함정이다. 또 한국은 현대의 중요 전략 무기로 평가되는 이지스함을 4척이나 보유하고 있는데 이에 비해 북한은 기술력도 열세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군사 전문가인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김 총비서가 이번에 '최현호'를 공개한 것에 대해 "우리 군의 이지스함처럼 레이더를 장착했다는 점을 과시하고 싶은 의도가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레이더판이 작동하기 굉장히 어려운 위치에 넓게 붙여놨다"라며 "그건 기능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이며 일단 외양만 그럴듯하게 갖춰놓은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말했다.
다만 현재 개발 중인 핵추진 잠수함까지 전력화가 될 경우, 지상으로부터의 핵 공격에 초점을 맞춘 우리 방어 체계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 총비서는 진수식에서 '최현'호가 북한 해군 강화의 "신호탄"이라며 "두 번째 신호탄은 바로 핵동력 잠수함 건조 사업"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더 나아가 '원양작전함대 건설'을 언급한 것은 미국이 전개하고 있는 전략 자산 한반도 배치, 한미일 연합훈련 등에 대비해 견제용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도 엿보인다.
김 총비서는 이날 해군 무력 강화가 "우리 국가의 영토완정과 완전한 평화를 위한 최선의 선택이며 정정당당한 자위권 행사"라는 주장했다. 한미가 대북 적대 행위 수위를 높여가고 있어 "현존 위협과 전망적인 위협으로부터 국가 안전상 우려를 정확히 반영"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미국이 계속해 군사적힘의 시위행위에서 기록을 갱신해 나간다면 우리도 마땅히 전략적 억제력 행사에서 기록을 갱신할 수밖에 없다 없다"며 "이것은 정당한 반응"이라고 해군 무력 강화 조치의 정당성을 재차 강변했다.
이는 한미 때문에 핵무력을 강화한다는 주장은 기존의 북한 입장과 다르지 않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속해서 북미대화 의지를 나타내는 상황에서 북한이 대화를 위한 조건을 제시한 '제스처'로 읽을 수도 있다.
북한은 지난 2023년 9월 처음으로 핵무기를 운용할 수 있는 재래식(디젤엔진) 추진 잠수함인 '전술핵공격잠수함'을 건조했다며 '김군옥 영웅함'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김 총비서는 핵공격잠수함이 "지난 수십년간 공화국(북한)에 대한 침략의 상징물"이었다며 "오늘 진수식은 우리가 신형 핵추진잠수함을 건조하는데 못지않게 우리 적수들에게 부담스러운 일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공개하기 4년 전인 2019년 7월 김 총비서가 함경남도 신포조선소를 시찰했을 당시 '새 잠수함을 건조했다'며 그 외관 일부를 공개하기도 했는데, 이처럼 장기간의 건조와 투자가 필요한 해상 전력을 그대로 전격 공개한 것은 상대적으로 열세란 평을 듣는 북한의 해군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강력히 드러낸 것이란 분석이 있었다.
또 지난 2023년 9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해 크네비치 군 비행장과 태평양함대 사령부를 참관한 바 있다. 그는 샤포시니코프 대잠호위함에 탑승해 러시아 해군 총사령관으로부터 함정의 해상작전 능력과 주요 무장장비, 전투 성능에 대한 설명을 듣기도 했다.
해군력은 국가 경제력에 기반해 단기간 극복하거나 성장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그런데도 북한이 지속해서 새로운 함대를 선보이며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것은 '선전 목적'의 의미가 더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한미동맹 체제에서 한국군만으로도 우리가 완벽하게 제공권과 해상권을 장악하는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북한의 '최현호'의 공개는 "내부 인민들에게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말했다.
또 "'최현호'가 동해에 배치될 예정인데 군사적으로는 서해 북방한계선(NLL)이 작전상 중요하다"라며 "하지만 서해 쪽 해군력은 모호하게 이야기를 한 것을 보면 전술적 의미를 갖진 않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했다.
youmj@ir7th.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