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카지노

"제주항공 최종 합의 등기 발송" 참사 유족들 울분

유가족들 김포공항서 '진상규명·책임자 처벌' 촉구
"제주항공, 조류 충돌 훈련·48시간 13차례 비행 혹사" 주장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이 23일 김포공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고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 (유가족 협의회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 News1

(광주=뉴스1) 최성국 기자 =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제주항공의 '합의 등기 우편 발송'을 공개하면서 조속한 진상 규명과 제주항공의 적극적인 수사 협조를 촉구했다.

23일 김포공항에서 항의 집회를 연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들은 성명서를 통해 "제주항공 참사는 국내 항공 역사상 가장 큰 인명 피해를 낸 사건임에도 지금까지 어떤 진상규명도, 책임자 처벌도 없이 묻히고 있다"며 "유족들이 바라는 건 오로지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라고 밝혔다.

유족들은 "제주항공은 최근 5년간 항공안전법 위반으로 받은 행정 처분이 국내 항공사 중 가장 많다. 제주항공은 특가 세일을 할 것이 아니라 이 비행기들이 안전하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족들은 제주항공의 '조류 충돌 우려 무시'와 '항공기 혹사'도 주장했다.

유족들은 제주항공이 무안국제공항에서 열린 '조류 충돌 우려 논의 위원회'에 불참하고, 사고 여객기는 사고 전 48시간 동안 총 13차례의 비행을 통해 33시간 9분을 운항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제주항공이 유족 측에게 보낸 '최종 합의 등기 발송'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유족들은 "179명이 숨졌지만 지금까지 처벌된 사람도, 발견된 진실도 없다. 그런데 제주항공은 유가족에게 최종 합의를 하자며 등기를 보내왔고, 그 이유에 대해서 '실수'라고 했다"고 토로했다.

이어 "제주항공은 사고 비행기의 부품 교체 인증서, 정비 이력, 조류 충돌 대비 훈련을 제대로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지난 5일 시작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유가족 서명운동엔 이날까지 2만 6000여 명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태국 방콕에서 출발한 제주항공 7C2216편은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9시 3분쯤 무안국제공항에 동체착륙을 시도하다가 둔덕형 콘크리트 로컬라이저와 충돌해 폭발했다. 여객기 사고로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숨졌다.

stare@ir7th.shop

오즈카지노 아테나카지노 에스엠카지노 킹카지노 코난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