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카지노

과기부 'AI 글로벌 컨퍼런스'서 국내외 AI 기업 전략적 협력 논의

리사 수 AMD CEO "韓 AI 발전 기대…AMD도 기여 바라"
유상임 장관 "AI 3대 강국 도약 위해 모든 노력"

(과기정통부 제공)/뉴스1

(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국가 AI역량 강화방안'을 추진하는 정부가 AI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글로벌·국내 AI 기업의 전략적 협력을 논의하는 자리를 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는 25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AI 글로벌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정부가 추진 중인 '국가 AI역량 강화방안'의 연장선에서 마련됐으며 △오픈AI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퍼플렉시티 △LG AI연구원 △리벨리온 △퓨리오사AI 등 AI 분야 국내외 주요기업들이 대거 참여했다.

오프닝 세션으로는 정소영 엔비디아 코리아 대표가 지난주 미국 산호세에서 개최된 '엔비디아 GTC 2025' 주요 내용을 리뷰했고, 키스 스트리어 AMD 수석 부사장이 실시간 영상으로 '소버린 AI의 다음 물결'(The Next Wave of Sovereign AI)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의 개회사와 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CEO)의 영상 축사로 행사가 시작됐다. 리사 수 CEO는 "한국의 AI 발전에 기대를 표하며 AMD도 이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 : 혁신의 주도권을 잡아라'라는 주제로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도 진행됐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실시간 영상으로 기조연설으로 진행했다. 권 CSO는 '인프라는 운명'(Infrastructure is Destiny)이라는 주제로 AI 모델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강력한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

엄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지난 2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역량 강화방안'의 주요 내용을 소개했다.

이어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는 오혜연 카이스트 교수가 좌장을 맡아 'AI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의 시너지, 한계를 뛰어넘다'라는 주제의 전문가 패널토의가 진행됐다. 토론에는 람다(Lambda), 텐서웨이브(Tensorwave), LG AI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트웰브랩스 등 6개 기업 관계자가 참여했다.

마지막으로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AI 반도체, 데이터센터(DC), AI 모델 및 서비스 등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국내외 관련 16개 기업들의 발표가 진행됐다.

유 장관은 이날 행사에서"오늘 컨퍼런스에 논의된 내용을 잘 반영해 AI 컴퓨팅 인프라의 신속 확충, 글로벌 최고 수준의 AI 모델 개발 집중 지원 등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ris@ir7th.shop

오즈카지노 아테나카지노 에스엠카지노 킹카지노 코난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