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손상예방·관리 중심축…중앙손상관리센터 운영 본격화
고려대 안암병원이 2027년까지 운영…정책 전문적 지원
- 강승지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질병관리청은 30일 오후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메디사이언스파크 동화바이오관에서 중앙손상관리센터 현판식을 연 뒤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손상'은 질병을 제외한 각종 사고, 재해 또는 중독 등 외부적인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건강상의 문제 또는 그 후유증을 말하며, 연간 288만 명이 손상을 경험한다.
중앙손상관리센터는 지난 1월 시행된 '손상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손상예방법) 제12조에 의거해 효과적인 손상 예방 및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처음으로 설치되는 전문기관이다.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이 받아 운영한다.
사업 수행기관은 공모와 국가손상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선정됐으며 이성우 고려대 안암병원 진료부원장(응급의학과 교수)이 센터장을 맡는다.
센터는 앞으로 △손상 발생의 위험요인 및 손상 예방·관리 기술 연구 △손상 관련 정보·통계 수집·분석 및 제공 △손상예방 관련 교육·홍보 △손상관리 전문인력 양성 등을 하게 된다.
질병청은 센터를 국가 손상예방‧관리 체계운영의 핵심기관으로 삼아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정책 근거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정책 수립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 센터의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활용한 손상 예방 사업도 전방위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전국 17개 시·도에 지역손상관리센터를 설치해 전국 단위 손상예방·관리 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
이날 현판식에는 지영미 질병청장과 윤을식 고려대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이성우 중앙손상관리센터장, 김수진 고려대 안암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장 등이 참석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손상 예방‧관리 정책의 깊이와 저변이 넓어질 것"이라며 "시·도별 지역손상관리센터도 설치해 국가 손상예방‧관리 체계를 완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ksj@ir7th.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